반응형
문제점
기존 손톱깎이는 절단면의 전체를 한 번에 자르는 메커니즘을 가진다.
손톱은 편평한 구조가 아닌 약간의 곡률을 가진 휘어있는 판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손톱깎이에서 손톱을 절단할 때 손톱깎이에 의해 편평하게 눌려 탄성을 가진 손톱을
한번에 자르는 순간 손톱이 다시 원래 형태대로 휘어지며 그 탄성으로 손톱이 튀게 된다.
개선점
가위의 메커니즘을 생각해보자. 가위는 한번에 종이에 닿는 절단면이 매우 작다.
이 메커니즘을 손톱깎이에 적용하면 휘어져있는 손톱의 모양을 편평하게 누르지 않고
작은 접촉면을 가지며 손톱을 튀지 않게 자를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기존 손톱깎이의 날 부분을 수평하게 만드는 것이 아닌 한쪽 날을
작은 각을 지도록 대각선으로 배치하거나 맞닿는 날 쪽으로 볼록한 모양의 날을 사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추가 개선
기존 손톱깎이는 내가 자르는 손톱 부분이 몸체에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다.
사실상 금속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부분은 날 부분으로 충분하다.
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
절단면과 잘리는 손톱의 모양을 명확히 확인하며 절단 할 수 있다.
플라스틱만으로 이를 구현하려면 손잡이를 눌렀다가 떼었을 때 손잡이의 최초 위치가
복원되는 메커니즘이 가능한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