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복잡도1 시간복잡도 big-O 시간복잡도 자료구조에 대해서 조회, 삽입, 변경(수정), 제거를 수행할 때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를 나타낸다. big-O 최악의 경우를 기준으로 시간 복잡도를 나타냄. 크기 비교(내림차순) O(n!) > O(2^n) > O(n^2) > O(nlog n) > O(n) > O(log n) > O(1) O(log n) < O(n) 항상 성립한다? '항상'은 아니다....단순히 값의 크기만 비교하는게 아니라 증가량의 차이도 고려하는 것 같다. (내용추가) big-Omega = 최선의 경우를 다루는 표기법 (하한점근선?) big-Theta = 최악, 최선의 중간경우를 다루는 표기법 종류는 이정도만 알고 넘어가자 자료구조별 시간복잡도 배열 Insert - O(n) 0번 인덱스에 삽입시 나머지.. 2020. 10.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