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환경변수2

react 에서 dotenv로 환경변수 사용하기 구글이나 깃헙의 API를 사용하려고 할 때 발급받은 클라이언트 Id를 깃헙에 유출시키지 않기 위해 dotenv를 이용했었다. 리액트에서는 사용방법이 달라서 기록해봤다. npm install --save dotenv 설치 //.env REACT_APP_MAPS_CLIENTID=clientId 리액트에서는 환경변수를 사용할 때 env 파일에서 반드시 변수명 앞에 REACT_APP 을 붙여야 한다. .gitignore에 .env를 작성하는것을 잊지말자 사용할 때는 환경변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파일 상단에서 import나 require를 한 뒤에 환경변수 값을 사용할 위치에서 process.env.환경변수명 으로 사용하면 된다. require("dotenv").config(); // import dotenv fr.. 2021. 4. 15.
export로 환경변수 만들고 process.env로 사용하기 export 환경변수명 = 값터미널에서 export 키워드로 환경변수를 추가해줄 수 있다. 보통 DB 접속시 사용하는 패스워드를 프로젝트 파일에 하드코딩해서 남기는 경우 패스워드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작성하지 않고, 환경변수를 이용해서 작성하곤 한다. 추가한 환경변수는 프로젝트에서 process.env.환경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환경변수를 터미널에서 추가하고, 환경변수 목록을 출력해도 저장되어있는데 process.env로 불러오면 undefined 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프로젝트가 실행되고 있는 터미널에서 환경변수를 추가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한다. 해결하기 위해선 DB에 패스워드로 접속하는 프로젝트의 터미널에서 export 키워드로 환경변수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내 경우엔 VS COD.. 2020.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