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2 HTTP vs HTTPS / GET vs POST HTTP는 텍스트 교환이므로, 누군가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가로채면 내용이 노출되는 보안 이슈가 존재한다. 이런 보안 문제를 해결해주는 프로토콜이 'HTTPS' 동작순서 HTTP : TCP -> HTTP HTTPS : TCP -> SSL -> HTTP HTTPS 는 HTTP 통신하는 소켓 부분을 SSL(Secure Socket Layer) or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프로토콜로 대체하는 것 뿐이다. HTTPS 의 SSL 에서는 공통키 암호화 방식과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을 사용한다. 공통키를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교환한 다음에 다음부터의 통신은 공통키 암호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모든 사이트가 HTTPS로 하지 않는 이유는, 암호.. 2021. 4. 12. HTTP's methods XHR vs fetch HTTP 속성 2가지 stateless HTTP의 요청은 모두 독립적이다. 첫번째 요청이 두번째 요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connectionless 한번의 요청에 한번의 응답만이 존재. 요청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면 연결은 끊긴다. 브라우저의 기본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 주소 표시줄, 이전/다음 버튼, 북마크 메뉴 등. 요청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이다. 브라우저 엔진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렌더링 엔진 사이의 동작을 제어. 렌더링 엔진 - 요청한 콘텐츠를 표시. 예를 들어 HTML을 요청하면 HTML과 CSS를 파싱하여 화면에 표시함. (크롬은 웹킷 (Webkit) 엔진 사용) 동작과정) DOM 트리 구축위한 HTML 파싱 - 렌더트리 구축 - 렌더 트리 배치 - 렌더 .. 2020. 11.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