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0 ORM(Object-Relational Mapping), JPA(Java Persistence API) ORM - 객체는 객체대로, 관계형DB는 DB 대로 설계를 따로 함 - ORM은 객체와 RDB 두 기둥 위에 있는 기술 JPA - ORM 기술 표준 - 인터페이스의 모음 JPA의 유지보수 측면 - 기존 : 필드 변경시 모든 SQL을 수정해야 함 - JPA : 필드만 추가하면 JPA가 알아서 SQL을 수정함 특징 - 객체 그래프를 완전히 자유롭게 탐색 가능 - 지연로딩 전략(Lazy Loading) 사용 -> 객체를 사용하는 시점에 SELECT 쿼리로 객체를 가져오는 전략 - 트랜잭션을 커밋하기 전까지 메모리에 INSERT 쿼리를 쌓음 작동순서 개발자가 JAVA 어플리케이션에서 JPA 사용 - JPA 내부에서 JDBC API를 사용 - SQL 호출 - DB와 통신 2020. 6. 28. JAVA SE 와 JAVA EE JAVA SE (Java Standard Edition) 자바 표준 에디션은 가장 기본이 되는 에디션입니다.흔히 자바 언어라고 하는 대부분의 패키지가 포함된 에디션 주요 패키지로는 java.lang.*, java.io.*, java.util.*, java.awt.*, javax.rmi.*, javax.net.* 등 JAVA EE (Java Enterprise Edition) 자바로 구현되는 웹프로그래밍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JSP, Servlet을 비롯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연동하는 JDBC, JNDI, JTA, EJB 등의 많은 기술들이 포함 Java EE는 Java SE의 API에 추가로(lib 디렉토리에 포함되어 있는 JAR파일들)의 차이 출처: https://210life.tistory.com/e.. 2020. 6. 25. 파이썬 모듈 모듈이란 함수의 집합을 뜻함. 모듈을 임포트할 때 쓰지않는 기능을 포함한 모든기능을 임포트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필요한 함수만 임포트할 수 있다 함수의 이름을 정해주면 이름을 새로 붙이기 전 이름은 사용할 수 없고 새로 지정한 이름으로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 print() 함수는 파라미터(인수)를 무한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2020. 6. 8. 파이썬 반복문 - for in 2020. 6. 8. 파이썬 조건문 - if else and or not if 의 조건은 if 바로 옆에 작성한다 is 키워드는 값의 데이터타입(object identity)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or 이나 and 로 여러 조건을 묶을 수 있다 조건이 충족됐을 때 실행할 코드는 조건문 뒤 : (콜론) 다음에 들여쓰기로 작성한다 else 는 if 키워드와 같은 들여쓰기 위치에 작성한다 끝에 : (콜론) 을 반드시 써준다 else if 2020. 6. 8. 파이썬 함수(Function) - arguments, 리턴, keyworded arguments 파이썬에선 { } 으로 처음과 끝을 구분하는 것이 아닌 들여쓰기를 이용해서 함수(Function)의 처음과 끝을 구분한다. say_hello() 함수 밑에 들여쓰기를 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하면 say_hello()를 호출했을 때 수행되지 않는다. Function Arguments (파라미터, 인수) Return 리턴 함수의 마지막에 return 키워드를 사용해서 리턴한다. Keyworded Arguments 파이썬의 특징 중 하나. 변수는 { } 으로 감싸서 값이 올바르게 출력되도록 한다. 또는, 2020. 6. 8. 파이썬 형변환 2020. 6. 8. 파이썬 데이터 타입(Data Type) none타입은 JS의 Null 이나 undefined 라고 생각하면 된다. (null에 더 정확하다고 함) 열거형 데이터 타입 (sequence) 1. list (mutable sequence) days.append("Sat") - 리스트에 추가 days.reverse() - 리스트의 데이터 순서를 반대로 2. tuple(튜플) (immutable sequence) 리스트는 [ ]으로 둘러싸지만 튜플은 ( )으로 둘러싼다.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 삭제,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다. Dictionary (object) 2020. 6. 8. String, String Buffer, String Builder 비교 String - immutable(불변) - 리터럴을 통해 생성되면(String a="hello";) 그 인스턴스의 메모리 공간은 변하지 않음 - 리터럴로 생성하면 "String Pool"에 생성 - 문자열 값이 변경되면 String Pool의 공간에 메모리를 할당받아 새로운 String 클래스 객체를 만듬 (원래 문자열을 가비지컬렉터를 통해 삭제돼야함, 언제사라질 지는 모름) - 문자열 연산이 많아지면 객체를 계속 새로 만드므로 성능 저하 - 대신 String 클래스는 "불변"하므로 단순히 "조회" 연산에서는 속도가 빠름 - 멀티쓰레드에서도 동기화를 신경쓸 필요가 없다 = 문자열 연산이 적고, 자주 참조(조회)하는 경우 좋다. StringBuffer & StringBuilder (공통점) - mutab.. 2020. 6. 8.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 mo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