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리2 Graph Tree BST Graph 그래프는 노드(Node, 정점 -vertex-)와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dge)로 구성된다. 간선은 방향가질수도, 무방향(undirected)일 수 있다. 진입 차수 진입 차수(in-degree):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에서 오는 간선의 수 (내차수 라고도 부름) 진출 차수(out-degree):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로 향하는 간선의 수 (외차수 라고도 부름) 방향 그래프에 있는 정점의 진입 차수 또는 진출 차수의 합 = 방향 그래프의 간선의 수(내차수 + 외차수) 인접 행렬 방식 NxN 불린 행렬(Boolean Matrix)로써 matrix[i][j]가 true라면 i -> j로의 간선이 있다는 뜻이다. V개의 노드를 표현하기 위해 V*V 만큼의 크기가 필요하므로 공간복잡도는 O(V^.. 2020. 10. 27. .appendChild()가 DOM 노드를 "이동"시키는 이유 위와 같은 코드를 수행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span요소가 div.b로 "복사"된다고 예상한다. 하지만 결과는 다르다 트리의 정의에서 이렇게 설명한다. 트리구조에 포함되어있는 객체(object)는 null이거나 object거나 자식을 갖는 "하나"의 부모를 가진다. 모든 노드는 루트 노드(최상위 노드)를 제외하곤 모두 "단 하나"의 상위 연결(하나의 부모)을 가진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드를 원래 부모에서 다른 부모쪽으로 이동시키고 싶다면, 트리 구조상 노드는 두개의 부모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먼저 원래 부모에서 제거된 후, 새로운 부모에게 이동되어야 한다. 출처 : indepth.dev/here-is-why-appendchild-moves-a-dom-node-between-parents/ 2020. 10. 9. 이전 1 다음 반응형